제도동향
美 FDA 유전자치료제 허가 및 신속 프로그램 지정 현황
- 등록일2025-02-12
- 조회수1127
- 분류제도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5-01-14
-
출처
재생의료진흥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FDA#유전자치료제#신속#프로그램
美 FDA 유전자치료제 허가 및 신속 프로그램 지정 현황
[Insights] 2024-2호
◈본문
Ⅰ. 서론
●1988년 FDA에 최초로 유전자치료제 IND(임상시험계획서)가 제출된 이후, 유전자치료제 IND 신청 건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 최초 유전자치료제 IND는 진행성 내성 흑색종 환자의 종양에서 얻은 TIL 관련 연구였으며, 유전자의 전이와 세포의 생존 수송 가능성을 조사함
●FDA의 첫 허가 유전자치료제는 2015년 흑색종 치료제로 허가된 임리직(Imlygic)으로, 최초 유전자치료제 관련 IND가 제출된 1988년 이후 첫 허가까지 약 27년이라는 오랜 기간이 소요됨
- 이는 새로운 치료법에 대한 유효성 및 안전성을 입증할 기준과 근거가 부족해 관련 규정이 마련되고, 관련 규제 기준이 마련되기까지 오랜 기간이 소요되었기 때문임
< FDA 연도별 유전자치료 임상 등록 및 진행 현황 >
※ 출처 : Lapteva L, et al.(2020), Clinical Development of Gene Therapies: The First Three Decades and Counting, Mol Ther Methods Clin Dev.
●꿈의 치료제라고 불리는 킴리아(Kymriah)의 허가(’17) 이후, 다수의 CAR-T 치료제들이 허가되었고 현재(’24.7) FDA의 허가를 받은 유전자치료제는 20개로 집계됨
- 세포 형질 도입 및 유전자 전달 기술이 새롭게 도입됨에 따라 최근 많은 제품이 임상에 진입했으며, 작년에는 CRISPR-cas9과 전기 천공을 활용한 유전자치료제(Casgevy)가 승인된 바 있음
●한편, FDA는 유전자치료제와 같은 혁신 신약의 개발을 촉진시키기 위해 다양한 신속 심사/승인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 며, 실제 많은 유전자치료제들이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 FDA 허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남
- 특히, 첨단재생의료 분야 치료제 개발 지원을 위한 별도 프로그램인 RMAT을 개발/운영하고 있음
●본 보고서는 FDAFDA 허가 유전자치료제의 특징과 신속 프로그램의 지정 현황의 분석을 통해 국내에서 개발 중인 유전자 치료제의 FDA 허가를 위한 지원 방안과 국내 첨단바이오의약품 허가 제도의 국제적 조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서 도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한편, 동일 의약품이더라도 적응증을 추가하는 경우, 새로운 허가 절차를 통해 심사가 이루어지며 각각의 규제 프로그램 지정 및 신청도 다시 필요하나, 본 보고서에서는 최초 허가에 참여한 프로그램과 지정 시점을 기준으로 분석을 진행함
Ⅱ. 본론
★ 유전자치료제의 개념 및 특징
●유전자치료제의 개념
- 유전자치료제에 대해 통일된 정의가 있는 것은 아니며 각국의 규제 당국에서 그 정의를 다르게 하고 있음
- FDA는 질병의 치료를 위해 유전자의 발현을 수정 또는 조작하거나 살아있는 세포의 생물학적 특성을 변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치료를 유전자치료라고 함
- EMA는 치료, 예방 또는 진단 효과를 갖는 유전자가 포함되어 있는 치료제로, 유전자 서열을 조절, 수정, 대체, 추가 또는 소실시키기 위하여 인체에 투여하는 재조합 핵산을 활성 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품으로 정의함
- 한편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질병 치료 등을 목적으로 인체에 투입하는 유전물질 또는 유전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의약품으로 정의하고 있음
- 유전자치료제는 유전자의 전달 방법에 따라 Ex-vivo 치료법과 In-vivo 치료법으로 구분되는데, 대표적인 Ex-vivo 방식의 치료법인 CAR-T 치료제의 경우 세포가 운반하는 CAR 유전자 부위가 실질적인 치료 역할을 하는 경우는 세포치료제로도, 유전자치료제로도 볼 수 있음
< 전달 방식에 따른 유전자치료제 >
※ 출처: FDA, 재생의료진흥재단 번역 및 가공
- 체외에서 유전자를 도입하는 방식의 치료제는 세포치료제와 유전자치료제로 그 개념이 혼용되어 해석될 수 있으며 국내・외 연구 보고서들에서도 이러한 방식의 치료제는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음
- 본 보고서에서는 분석 범위를 명확히 하기 위해 유전자 전달 방식에 따라 유전자치료제 유형을 구분하였으며 Ex-vivo 방식의 치료법도 유전자치료제로 구분함
●유전자치료제의 특징
- 유전자의 결함과 부작용을 억제하거나 보완할 수 있어 희귀난치성 질환에 대한 근원적 접근이 가능함
- 희귀 난치 질환뿐 아니라 암과 만성질환 치료를 위해 활용될 수 있으며, 점차 활용되는 적응증 범위가 확장되고 있음
< 유전자치료의 장점과 단점 >
※ 출처 : Bains S,et al.(2024) State of Gene Therapy for Monogenic Cardiovascular Diseases, mayoclinicproceeding, 재생의료진흥재단 재가공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유전자변형식품 완전표시제 개정법안 발의
-
다음글
- USDA APHIS의 7 CFR Part 340 규정(SECURE Rule)에 대한 美 법원의 무효 판결과 그 영향(2025-3)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