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영화를 보고 더 잘 기억하는 이유, ‘해마’로 밝혔다- IBS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 자기공명영상(fMRI) 활용해 해마의 기억 조율자 역할 규명 -기억 형성·회상에 대한 신경과학적 이해를 확장하는 중요 계기 마련 -우리의 뇌는 영화를 보거나 책을 읽을 때 다양한 정보를 동시에 받아들이며 기억을 형성한다. 특히, 등장인물의 이름, 관계 변화, 사건의 흐름 등을 통합적으로 기억해야 나중에 내용을 잘 회상할 수 있다. 이처럼 새로운 정보 처리, 기억 형성 그리고 회상과 같은 일련의 과정을 우리 뇌 속 해마(hippocampus)가 어떻게 통합적으로 조율하는지 비밀이 밝혀졌다.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 심원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