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중국 항암제 시장동향
- 등록일2024-07-17
- 조회수1567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4-07-08
-
출처
KOTRA
- 원문링크
-
키워드
#중국#항암제#의약품
중국 항암제 시장동향
암 환자 증가로 항암제 시장 지속 성장 추세
◈본문
상품명 및 HS 코드
상품명 | HS Code |
항암제 | 300490 |
시장규모
중국에서 암 환자가 급증하면서 중국 항암제 시장이 역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중국 국가암센터(国家癌症中心)의 통계에 따르면 중국에서 2022년에 약 482만5000명이 신규 암 환자로 진단 받았으며, 약 257만4000명이 암으로 사망했다. 2023년 중국 암 환자는 약 49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중국 신규 발생 암 환자 수 추이>
(단위: 만 명)
폐암은 중국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암 유형으로, 2022년 106만1000명의 신규 환자가 발생했으며, 대장암이 그 뒤를 이어 2위(51만7000명), 갑상선암(46만6000명), 간암(36만8000명), 위암(35만9000명)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2022년 중국 유형별 신규 발생 암 환자 수>
(단위: 만 명)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프로스트 앤 설리번(Frost & Sullivan)에 따르면 중국 항암제 시장은 2017년 1394억 위안에서 2023년 2838억 위안으로 성장했으며, 오는 2030년까지 6094억 위안 이상의 시장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예측된다.
<중국 항암제 시장 규모>
(단위: 억 위안)
수입 동향
2023년 중국의 항암제(HS Code 300490 기준) 수입액은 전년 대비 7.8% 증가한 178억33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중국 항암제 수입 금액 및 증감률>
(단위: 백만 달러, %)
수입된 항암제 중 독일산이 48억 1,300만 달러로 가장 많았고, 이어 미국산이 20억2100만 달러, 이탈리아산이 16억3400만 달러, 스웨덴산이 13억9800만 달러, 프랑스산이 12억7900만 달러 순을 기록했다.
<주요 수입국 현황 (HS Code 300490 기준)>
(단위: 백만 달러, %, %)
한편, 한국산 제품의 수입 금액은 약 3700만 달러로, 전년에 비해 23.4%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중국의 한국산 항암제 수입 금액 및 증감률>
(단위: 백만 달러, %)
경쟁 동향
시장조사기관 첸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에 따르면, 현재 중국에서 항암제를 판매하는 글로벌 및 로컬 기업의 숫자는 400개 사를 넘는 것으로 조사됐으나, 매출액 기준으로 상위 10개 기업이 2023년 전체 항암제 시장의 약 44%를 점유하고 있다.
<중국 항암제 시장 집중도 현황>
(단위: %)
해당 시장의 제약사 매출 순위로 살펴보면 로슈(Roche),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가 1위와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글로벌 기업들이 경쟁우위를 유지하고 있다. 반면, 중국 로컬 업체들은 지속적으로 기술을 개선하고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는 등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시장 점유율을 점차 확대하고 있다.
<중국 항암제 시장 기업별 점유율 현황>
(단위: %)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