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동향
코로나19 백신, mRNA 백신, 기술특례 상장
- 등록일2022-01-11
- 조회수4397
- 분류특허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1-10-15
-
출처
한국제약바이오협회
- 원문링크
-
키워드
#코로나19 백신#mRNA 백신#기술특례상장
- 첨부파일
코로나19 백신, mRNA 백신, 기술특례 상장
◈목차
I. 들어가며
Issue paper의 구성
II. Hot Issue - 코로나19 백신 특허 면제, 어떻게 봐야 하나?
논의의 배경
코로나19 백신 특허 관련 WTO/TRIPS 제안서 분석
코로나19 백신의 공평한 공급을 위한 방안
결론 및 시사점
III. 바이오-IP 동향 - mRNA 백신 관련 글로벌 특허 현황
mRNA 백신 개발의 역사
mRNA 백신 개발 동향
펜실베니아 대학교(UPenn)과 모더나(Moderna)의 특허전략
소결
Ⅳ. 심층 Study - 모더나(Moderna) mRNA 백신 특허 이슈 분석
모더나(Moderna) mRNA 백신 특허 이슈
모더나(Moderna)와 셀스크립트(Cellscript)의 서브라이선스 계약
모더나(Moderna)와 아뷰투스(Arbutus)의 특허 소송
V. 정책과 제도
- 벤처 제약기업의 기술특례상장 평가 시 지식재산권(IP) 중요성
제약산업에서 특허가 가지는 의미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기술평가제도에서 특허의 역할
기술특례상장기업의 특허전략 사례소개
맺음말
VI. 인물/기업 탐구
- 투자자 관점에서의 바이오 스타트업 특허전략
한국투자파트너스 정순욱 투자이사/변리사
만족도 조사
◈본문
Ⅰ. 들어가며
Issue paper의 구성
BIO-IP ISSUE PAPER 제2호에서는 바이오 기업 관계자 또는 바이오 IP를 다루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최근 주요 이슈를 선정하여 다루었다. 지난해부터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코로나19 백신과 관련된 첫 번째 이슈로 ‘코로나19 백신 특허 면제’와 관련된 이슈를 살펴보았다. 코로나19 백신 지재권 보호 의무 면제와 관련해 찬반 논란이 뜨거운 만큼 양측의 의견을 함께 담고 있다.
두 번째 이슈는 코로나19 백신 중 mRNA 백신과 관련된 이슈로 ‘mRNA 백신 글로벌 특허 현황’과 ‘모더나(Moderna) mRNA 백신 특허 분쟁 이슈’를 다루었다. mRNA 백신은 새로운 형태의 백신으로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만큼 현재 시점에서 꼭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다. 또한, 모더나(Moderna)의 mRNA 백신 특허 분쟁과 관련된 이슈를 통해 핵심 특허의 출원과 보유, 라이센싱의 중요성 등을 분석해보았다.
세 번째 이슈는 벤처 제약기업 또는 바이오 스타트업에서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이 좋을 주제로 기술특례상장을 준비하거나 도전하고자 하는 기업은 지식재산권(IP)의 중요성을 알고, 그에 맞는 특허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말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말 한국거래소는 개선된 기술평가제도를 발표하였다.
네 번째 이슈는 바이오 스타트업에 투자할 때 벤처캐피탈(VC)에서 유의해야 할 특허 포트폴리오 분석 방법이다. 제1금융권 최초의 변리사이자 투자자산운용사인 한국투자파트너스 정순욱 투자이사의 인터뷰를 통해 관련 내용을 담았다.
II. Hot Issue - 코로나19 백신 특허 면제, 어떻게 봐야 하나?
논의의 배경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이 전세계적으로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코로나19 백신의 공평한 공급과 원활한 생산을 위한 논의의 중심에 특허권 보호의 문제가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는 특허권의 기본 이념에 대한 논의로 신기술에 대하여 일정기간 독점배타권을 부여하는 특허권이 백신의 공급 및 생산을 저해하는가? 특허권 부여로 인하여 신기술에 대한 투자유인과 기술공개를 유도하는가?의 문제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촉발한 코로나19 백신 특허 관련 WTO/TRIPS 제안서의 주요내용과 이에 대한 찬반론을 검토하면서 백신 특허권 보호 면제의 문제를 어떻게 바라봐야할지 살펴보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지식재산과 혁신 제5호
-
다음글
- mRNA 백신 특허 분석 보고서
관련정보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