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체 데이터 2차 활용 관련 국가별 제도 비교 연세대학교 박유랑 교수 유전체 기술의 발전과 비용 감소로 진단, 치료, 연구 목적의 유전체 데이터 활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후 다른 목적의 2차 활용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음. 그러나 유전체 데이터는 기존 데이터를 추가 비용 없이 활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수단이지만, 민감성 및 개인정보 보호 문제로 각국의 정책적 접근이 상이함. 이에 본 연구는 주요 국가(미국, 핀란드, 일본, EU)의 관련 법률과 정책을 분석하고, 한국의 제도적 한계를 파악하여 유전체 데이터 2차 활용을 위한 정책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함 1. 개요 □ 유전체 기술의 발전과 비용 감소에 따라서, 많은 국가, 기관 및 개인들이 진단, 치료 및 연구 목적(1차 활용)으로 유전체 데이터를 확보·활용하게 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렇게 확보된 유전체 데이터는 법적·기술적 방법론을 통해 다른 목적(2차 활용)으로 활용 할 수 있음 ●그러나 유전체 데이터의 민감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