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나노바이오융합기술 실용화의 현주소
- 등록일2011-03-15
- 조회수18626
- 분류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
저자/소속
이재의/전라남도 나노바이오연구센터
-
발간일
2011-03-15
-
키워드
#나노바이오#융합기술
- 첨부파일
Bioin스페셜 WebZine 2011년 21호 [바이오 융합기술]
나노바이오융합기술 실용화의 현주소
이재의 전라남도 나노바이오연구센터 소장
1. 나노기술의 현황
최근 융합기술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나노바이오기술은 NT와 BT기술이 접합된 대표적인 융합기술의 영역이다. 선진 각국은 나노기술에 적극적으로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1)향후 10년 이내에는 의료 및 건강산업 분야에서 나노기술에 대한 투자가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2) 우리나라는 반도체의 낸드플래시메모리 등 IT분야가 나노기술을 선도하면서 나노관련 투자도 IT분야에 집중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최근 그린에너지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면서 신재생에너지 분야인 태양광 웨이퍼 제조기술 등을 중심으로 나노기술이 접목되는 추세다. 여기에 비해 바이오 분야의 나노기술 투자는 아직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는게 우리나라의 현실이다.3)전문가들은 20세기 후반 IT가 산업성장을 주도했다면 21세기는 바이오와 환경 분야가 그런 역할을 할 것이라고 예상한다. 고령화의 급속한 진전과 지구환경변화 때문에 건강과 생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바이오 분야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다. 글로벌시대 우리 산업이 지속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어떤 선택을 해야 할지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1) 정부차원 투자규모를 보면, 미국 NNI가 발표된 2000년도에 전 세계적으로 8억2,500만 달러 규모에서 2008년에는 무려 10배 가까운 약 80억 달러 규모로 증가했다. 미국과 일본 유럽이 각각 18억, 11억, 25억 달러 규모로 세계의 3분의 2를 차지한다. 한국은 2억 9,300만 달러로 6위다. 구매력지수(ppp)로 환산한다면 대만 1위, 일본 2위, 네덜란드 3위, 한국이 4위로 아시아권 국가들이 훨씬 공격적이다.(주요 나노기술의 현황과 산업화 동향,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12)
2) 참조: Market Breakdown of Corporate R&D Spending, Cientifica, The Nanotechonology Report 3rd Ed, 2008
3)정확히 기술분야별 투자규모가 파악되고 있지는 않지만 부처별 나노기술분야 투자규모로 짐작컨대 보건복지부나 농림식품수산부 등 바이오분야와 직결된 부처들의 나노기술투자 규모가 일반적인 산업분야나 과학기술을총괄하는 지식경제부나 과학기술부의 투자규모에 비해 낮은 비율이다.(부처별 나노기술분야 투자현황, 2008, 전게서 19p 참조)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