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국가 과학기술혁신 및 R&D 발전전략을 위한 ‘KISTEP Think 2022’ 핵심 아젠다 발굴 연구◈ 목적○ 코로나19 팬데믹 등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과학기술을 통해 새로운 뉴노멀을 극복하고 세계적인 선도국가로 도약하는데 기여할 정책 아젠다 발굴과 실행이 요구○ 국가R&D 100조원과 R&D 예산 30조원 시대의 국가R&D 전주기 지원체계 혁신과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창출·확산, 새로운 민·관협력 파트너쉽(PPP) 등을 위한 정책 아젠다 발굴과 실행이 필요○ KISTEP이 과학기술혁신정책 Think Tank로서의 임무와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선도적이고 체계적인 과학기술혁신 및 R&D 정책 아젠다 발굴·제시 역량 강화가 필요- 국가 과학기술혁신 및 R&D 발전전략을 위해 2022년 주목해야 할 이슈를 도출하고 이에 대응한 ‘KISTEP Think 2022’ 핵심 아젠다 발굴·제시◈ 주요내용○ 경제, 사회, 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과학기술혁신정책 수요를 체계적으로 분석‧정리하기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 다양한 분야의 시각과 정보 반영을 위해 언론자료, 과학기술 정책자료, 동향분석 자료 등을 분석 대상으로 설정- 언론자료는 최근 3년간 자료 1,036,143건, 정책자료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등 같은 공식 위원회에 최근 4년 동안 상정된 안건 285건, 동향분석자료는 최근 4년 과학기술 정책 및 기술, 산업 동향 자료 9,298건을 대상으로 분석○ 혁신환경 분석 결과는 언론자료, 정책자료, 주요 기관의 동향자료별 주요어 빈도분석(워드클라우드), 토픽모델링, 언어네트워크 지도로 제시○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5대 핵심영역으로 설정하고 과학기술혁신정책 후보 아젠다 발굴에 활용 ◈ 결론○ 과학기술의 사회적 파급효과는 앞으로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되며 우리사회의 문제 해결을 위한 의사결정에서 점점 더 중요한 요인이 될 것○ 각 계 전문가의 참여와 고민이 포함되고 국민적 공감대를 부여 받은 과학기술혁신정책이 현장에서 실현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