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네트워크 허브 구축방안 수립을 위한 정책연구◈목차제1장 서론제2장 과학기술 네트워크 허브 구축의 필요성제3장 기존 과학기술 네트워크 허브 및 사례조사제4장 새로운 과학기술 네트워크 허브의 모델 정립제5장 과학기술 네트워크 허브 모델의 기획 및 설계제6장 디지털 허브의 기획 및 설계제7장 과학기술 기반 산업·경제 발전 모델제8장 결론참고문헌◈본문요약문 Ⅰ. 제 목 : 과학기술 네트워크 허브 구축 방안 수립을 위한 정책연구Ⅱ. 정책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본 정책연구에서는 세계적인 과학기술 네트워크 허브 구축 방안 수립을 통하여 과학기술 관련 국제교류를 활성화하고 또 대한민국이 미래 과학기술 강대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역량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시공간 시너지 강화형의 차별적 허브구축으로 국내외 연구자들에게 과학기술 네트워크를 연계, 지원함은 물론 과학기술인들의 교류의 장을 제공하되, 과학기술의 성과를 제시, 홍보하며, 차별적 수월적 지위의 허브가 하나의 좋은 산실로 작용하여 미래 과학기술인 양성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Ⅲ. 정책연구의 내용 및 범위 - 해외 사례 조사 및 분석을 통한 새로운 과학기술 허브의 구축 필요성, 차별적 모델 제시 - 국가 R&D 성과를 전통 과학기술과의 연계함으로써 극대화시키며 - 연구교류는 물론 과학기술 인재 양성의 장으로서 복합적 역할을 수행하게 함 - 이를 위해 필요한 주요 구성 요소 및 역할, 기존 시설과의 차별 등 상세 기획안 제시 - 모델 실현을 위한 예산, 제도, 규정 등 구체적 자원을 분석, 제시함Ⅳ. 연구결과 - 국내외 시설, 단체 및 기관들의 조사를 통해, 허브의 모델에 대한 차별적 요인 모색 ~ 연계-총괄주체로서의 조직 체계, 연계 및 교류의 체계구축, 상생전략 등 수립, 콘텐츠의 업데이트, 교육기능의 복합화 공동 추진, 비대면 기능 강화, 허브 주관의 핫 이슈, 국가 R&D 성과 상설전시의 장과 전통 과학기술의 연계 - 건물 인프라 대신 서버에 의한 인프라 구축, 메타버스형 가상 허브공간 구상 및 설계 ~